1. 실내건축기사란? – 정의 및 자격 요건

실내건축기사는 실내 공간 설계와 시공을 전문으로 하는 국가기술자격입니다.
전문대 이상 관련학과 졸업자, 또는 기능사 자격 보유 후 실무경력(2년 이상) 등을 통해 응시 가능합니다.
큐넷(Q‑net)의 응시자격 자가진단 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자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 
자격 취득자는 인테리어 사무소, 건설사, 공공기관, 프리랜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내디자인 전문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 


2. 2025년 시험 일정 및 구조

◼ 시험 회차 및 일정

2025년에는 총 3회에 걸쳐 실내건축기사 시험이 시행됩니다.
각 회별로 필기와 실기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

  • 제1회
    • 필기원서접수: 1월 13일(월) ~ 16일(목)
    • 필기시험: 2월 7일(금) ~ 3월 4일(화)
    • 실기원서접수: 3월 24일(월) ~ 27일(목)
    • 실기시험: 4월 19일(토) ~ 5월 9일(금)
  • 제2회
    • 필기원서접수: 4월 14일(월) ~ 17일(목)
    • 필기시험: 5월 10일(토) ~ 30일(금)
    • 실기원서접수: 6월 23일(월) ~ 26일(목)
    • 실기시험: 7월 19일(토) ~ 8월 6일(수)
  • 제3회
    • 필기원서접수: 7월 21일(월) ~ 24일(목)
    • 필기시험: 8월 9일(토) ~ 9월 1일(월)
    • 실기원서접수: 9월 22일(월) ~ 25일(목)
    • 실기시험: 11월 1일(토) ~ 21일(금)

필기 합격자 발표는 시험 종료 직후 오전 9시에 공지되며, CBT 방식 필기 시험은 매 회당 1회 응시 기회로 제한됩니다 


3. 시험 과목 및 합격 전략

◼ 필기시험 과목 구성

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선다 형태이며, 다음 5과목으로 구성됩니다 

  • 건축계획
  • 건축시공
  • 실내디자인론
  • 색채계획
  • 건축관계법규

각 과목은 실내 설계 이론, 색채 및 공간 활용, 법규 지식 등을 균형 있게 평가합니다.

◼ 실기시험 구성

실기시험은 필답형 + 작업형(도면작성 등) 복합 형식으로,
시공·적산·공정관리·품질관리 영역에서 실무 능력을 평가합니다.
시험은 도면 해독, 적산 계산, 공정표 작성 등 실무 중심의 문제로 구성됩니다 

◼ 합격 기준 및 전략

필기·실기 모두 과목별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이며, 평균 합격률은 필기 2030%, 실기 4050% 수준입니다 
성공을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기출문제 반복 풀기: 최근 8~10년 기출을 중심으로 유형 파악
  • 법규 요약 노트 작성: 색채, 설계법규 등 암기 요소 정리
  • 실기 도면 작도 연습: 주말·모의시험 형식으로 시간 안에 실습
  • 실기 시공 관리 이해: 표준시방서 및 품셈 기반 공부, 공정표 작성 등 q-

4. 최신 트렌드 및 자격증 활용 전망

2025년에는 친환경 공간, 스마트 IoT 인테리어, 고령자·유아 배려 설계, 실내 공기질 개선, BIM(Building Informat

자격증 취득 후 진로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인테리어 설계 및 관리 업무 (사무소, 프리랜서)
  • 건설사 인테리어 공정 감리
  • 공공기관 공간디자인 업무 (LH, SH 등)
  • 창업 및 디자인 컨설팅 분야
    초봉은 약 3,200만 원, 경력 5년 이상은 4,500만 원 ~ 6,000만 원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h


결론 및 핵심 정리

  1. 자격 요건 확인은 큐넷 자가진단 필수
  2. 시험 일정은 연 3회 시행, 필기와 실기 준비 철저히
  3. 과목별 합격 전략: 기출 중심 필기 + 실제 도면 기반 실기
  4. 최신 트렌드 반영: 친환경·고령자·BIM 등 실무 중심
  5. 자격 활용도 높음: 인테리어 설계, 감리, 공공기관, 창업까지 가능

시험 준비는 계획과 반복, 법규 요약, 도면 연습과 실전 모의테스트가 핵심입니다.
이 글이 여러분의 준비 여정을 더 탄탄하게 다지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